LA 대형 산불로 드러난 기후 변화의 위험성 via 2025-01-21 ⓒ ScienceTimes
• 기후변화와 산불의 관계
전문가들은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이 전 세계적 산불 위험을 높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뜨겁고 건조하면서 바람이 강한 상황에서는 화염이 쉽게 번진다
• 기후변화가 산불에 미치는 영향
기후변화 자체가 산불을 '직접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은 아니다.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이 지구 온난화를 가속시키면서 지구의 온도는 높아지고 건조한 날이 이전보다 더 많아졌다. 이런 변화는 이른바 '산불 날씨'를 악화시킬 수 있다. 뜨겁고 건조하면서 바람이 강한 상황에서는 화염이 쉽게 번지게 되는데, 기후변화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산불 발생 기간이 평균 2주가량 길어졌으며 기존의 산불 발생 시기를 벗어나 발생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현재 LA의 경우 기후변화로 인한 '수문기후 채찍효과(hydroclimate whiplash)'가 이번 산불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2022년과 2023년 겨울의 이례적인 강수량으로 풀과 관목이 무성히 자랐고, 이후 2024년 여름의 기록적인 건기와 늦은 우기로 인해 이 식생이 연료로 변했다는 것이다.
많은 전문가들은 궁극적으로 화석연료 사용을 시급히 중단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지난해 미국의 과학 옹호 단체인 '우려하는 과학자 연합(UCS)'은 기후변화와 산불의 연관성을 지적하며 주요 화석연료 기업 CEO들에게 배출량 감축을 촉구하기도 했다.
"정보 / 잡학.백과사전" 분류의 다른 글
나르콜렙시 | 2011/08/24 |
세계 최초 텔레비전 실험 | 2024/02/09 |
장기기억 형성에는 ‘억제’와 ‘손상’이 필수 | 2024/07/08 |
한스 뮌히, 아우슈비츠의 선인 | 2024/07/08 |
한국은행의 금리인하가 왜 물가상승을 불러 일으키게 되는가 | 2011/08/24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