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귄지 / 사귄 지

2025/07/10 08:39

[사귄 지 오래되어도 ... ]

여기서 사귄 지가 이상하다.
하지만 나는 또 틀린다.

사귄지 (X) 사귄 지 (O)
'-은지', '-ㄴ지'는 형용사로 끝난 어간에 붙어, 느낌을 강조하는 종결 어미로 사용하며,
'-ㄴ', '-는' 으로 끝나는 동사 어미 아래에 쓰이는 '지'는 의존 명사로서 동작이 있었던 때로부터 지금까지의 동안을 뜻합니다.

(예) 얼마나 아름다운지!
서울로 이사한 지 10년이 넘었다.
 
▷ 형용사에서는 붙이고, 동사에서는 띈다!


"정보 / 우리말" 분류의 다른 글

어떻하지 / 어떡하지2011/08/21
돋다 / 돗다2017/06/03
되 / 돼2014/07/12
묻다/뭍다2011/09/04
붓다 붇다2021/06/30

2025/07/10 08:39 2025/07/10 08:39

(#Hashtag) 같은글

o가지 / o 가지

2025/07/02 08:41

어느 문장에서 4개의 종류를 뜻하는 것을 '네 가지'라고 쓴걸 보고서, 어? 네가지가 맞지 않아? 싶어서 또 찾아본다.

네 가지 (O) / 네가지 (X)
사물의 수나 양을 나타내어 체언을 꾸미는 수관형사는 뒤에 오는 명사 또는 의존 명사와 띄어 씁니다.
(예) 몇 개월, 십오 년, 한두 마리, 서너 명, 반 시간, 두 가지, 여섯 가지, 몇 가지, 두어 개, 십여 달

결국 내가 틀렸다.



"정보 / 우리말" 분류의 다른 글

네요 / 내요2011/08/20
시치미를 떼다2011/08/23
사귄지 / 사귄 지2025/07/10
묻다/뭍다2011/09/04
데요 / 대요2011/08/20

2025/07/02 08:41 2025/07/02 08:41

(#Hashtag) 같은글

붓다 붇다

2021/06/30 13:01

커피를 붓다가 사고를 쳤다, 는 문장을 쓰려고 했는데

붓다?? 붓다 맞나?? 싶어져서 오랫만에 우리말 찾기.

● '붇다'는
'물에 젖어서 부피가 커지다.', '분량이나 수효가 많아지다.'를 뜻하고
'붇고,붇는, 붇지,붇게,불어,불으니,불어서'로 활용된다.

예) '물기를 흡수해 부피가 커지다'(물에 불은 손. 국수가 불어 맛이 없다) / '(분량이나 수효가) 많아지다'(체중이 붇다. 재산이 붇다. 식구가 둘이나 불었다. 홍수로 강물이 붇다/불었다) / 콩이 붇다/ 북어포가 물에 불어 부드러워지다. 개울물이 붇다/ 체중이 붇다. '체중이 늘다' '몸무게가 붇기 시작했다'

'붓다'는
'살가죽이나 어떤 기관이 부풀어 오르다.', '액체나 가루 따위를 다른 곳에 담다.' 등을 뜻합니다.
'붓고,붓지,붓게,부어,부으니,부어서'로 변한다.

예) 얼굴이 붓다/다리가 퉁퉁 붓다. 자루에 밀가루를 붓다. 은행에 매달 적금을 붓다/부어나가다. 솥에 물을 붓다. 왜 잔뜩 부어 있느냐?

두 단어가 모두 불규칙하게 변하지만 공통적으로 규칙적인 것도 있다. 자음 어미가 올 때는 어간에 변화가 없다는 점이다. 뒤집어 말하면 모음어미가 올 때는 각각 어간에 변화를 일으키는데,'붇다'는 어간이 '불-'로 바뀌고,'붓다'는 '부-'로 바뀐다

 '부은 사람'은 '몸이 정상이 아닌 사람'이고, '불은 사람'은 '체중이 늘어난 사람'을 뜻합니다. 그래서 '몸이 많이 불었어.'도 바른 표현입니다. 

 '붓다'는 '~에(게) ~을 담다' '살갗 따위가 부풀어 오르다'라는 뜻을 가진 말입니다. 이 말에 '쏟다'가 합쳐진 '쏟아붓다'란 말을 많이 쓰는데 종종 '쏟아붇다'로 잘못 쓴 것을 보게 됩니다. '쏟아붇다'가 아니라 '쏟아붓다'가 맞습니다.

more..



그래서 내가 쓰려고 했던 표현, 커피를 붓다가 사고를 쳤다 는 맞는 표현이다.



"정보 / 우리말" 분류의 다른 글

어떻하지 / 어떡하지2011/08/21
o가지 / o 가지2025/07/02
먹먹하다 / 멍멍하다2011/08/24
되 / 돼2014/07/12
~같은 / ~ 같은2025/06/25

2021/06/30 13:01 2021/06/30 13:01

(#Hashtag) 같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