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 붇다

2021/06/30 13:01

커피를 붓다가 사고를 쳤다, 는 문장을 쓰려고 했는데 붓다?? 붓다 맞나?? 싶어져서 오랫만에 우리말 찾기.● '붇다'는 '물에 젖어서 부피가 커지다.', '분량이나 수효가 많아지다.'를 뜻하고 '붇고,붇는, 붇지,붇게,불어,불으니,불어서'로 활용된다. 예)'물기를 흡수해 부피가 커지다'(물에 불은 손. 국수가 불어 맛이 없다) / '(분량이나 수효가) 많아지다'(체중이 붇다. 재산...



"정보 / 우리말" 분류의 다른 글

먹먹하다 / 멍멍하다2011/08/24
보내 / 보네2011/08/20
묻다/뭍다2011/09/04
시치미를 떼다2011/08/23
어떻하지 / 어떡하지2011/08/21

2021/06/30 13:01 2021/06/30 13:01

(#Hashtag) 같은글

되 / 돼

2014/07/12 12:46

늘. 아직도. 나이가 이렇게 되었는데도, 여전히. 되와 돼의 구분이 어렵다. 하여 정리한다. (예전에 정리한줄 알았건만)via 우리말배움터되요 (X) 돼요 (O) 되어요 (O)1. '해도 돼요', '하면 돼요'가 맞습니다.○ '되다'에 의문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어요'를 결합하면 '되어요'가 됩니다.이때 '되어'는 '돼'로 줄여 쓸 수 있으므로 '되어요'는 '돼요'로 쓸 수 있습니다.○ '되...



"정보 / 우리말" 분류의 다른 글

시치미를 떼다2011/08/23
보내 / 보네2011/08/20
어떻하지 / 어떡하지2011/08/21
네요 / 내요2011/08/20
데요 / 대요2011/08/20

2014/07/12 12:46 2014/07/12 12:46

(#Hashtag) 같은글

TAG

묻다/뭍다

2011/09/04 02:49

가슴 한 켠에 묻다/뭍다. 를 사용하려고 하다가 물음표가 새겨져 찾아보았다.

via 우리말배움터

 '뭍다'라는 단어는 없습니다. (뭍히다 등등의 단어 모두 오류)

'궁금한 것을 묻다', '무엇을 땅에 묻다', '손에 기름이 묻다'로 씀이 바릅니다.


 




"정보 / 우리말" 분류의 다른 글

붓다 붇다2021/06/30
먹먹하다 / 멍멍하다2011/08/24
어떻하지 / 어떡하지2011/08/21
시치미를 떼다2011/08/23
데요 / 대요2011/08/20

2011/09/04 02:49 2011/09/04 02:49

(#Hashtag) 같은글

TAG

먹먹하다 / 멍멍하다

2011/08/24 02:11

방금 글을 적다가 멍먹하다, 로 잘못쓸 뻔했다. 하여 맞춤법을 기록한다. O 먹먹하다갑자기 귀가 막힌 듯이 소리가 잘 들리지 않다. 소리가 잘 들리지 않아 귀먹은 것 같다.체한 것같이 가슴이 답답하다.[예문]롤러코스터를 한 바퀴 타고 제자리로 들어설 때,귀가 먹먹해 세상에 홀로 남겨진 듯한 느낌과 비교할수 있을까. [한국경제 02.09.05.] O 멍멍하다정신이 빠진 것같이 어리벙...



"정보 / 우리말" 분류의 다른 글

붓다 붇다2021/06/30
시치미를 떼다2011/08/23
어떻하지 / 어떡하지2011/08/21
보내 / 보네2011/08/20
돋다 / 돗다2017/06/03

2011/08/24 02:11 2011/08/24 02:11

(#Hashtag) 같은글

TAG

어떻하지 / 어떡하지

2011/08/21 17:33

어떻하지 (X) / 어떡하지 (O)어떻하지는 우리 단어의 구조상 맞지 않는 느낌이고 어떡하지가 맞을 것 같은데 과연 정답은 무엇일까?바로 어떡하지 입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표현으로 '어떻게 해' 라는 게 있는데 이때문에 어떡하지에 대한 맞춤법이 헷갈리는 것 같습니다. ('어떻게'는 '어떻다'의 부사형이므로 뒤에 오는 서술어와 띄어 써야 바릅니다.)우리말에서 어떻해/ 어떡해 에...



"정보 / 우리말" 분류의 다른 글

시치미를 떼다2011/08/23
먹먹하다 / 멍멍하다2011/08/24
묻다/뭍다2011/09/04
되 / 돼2014/07/12
보내 / 보네2011/08/20

2011/08/21 17:33 2011/08/21 17:33

(#Hashtag) 같은글

TAG

왠일인지 / 웬일인지

2011/08/20 02:06

"웬"과 "웬일", "왠지"만 맞습니다.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을 꾸밀 때는 "웬(어떤)"을 그 밖에는 "왠지(왜인지)"를 쓰시면 됩니다.다른 구별 방법으로는 "어떤"으로 바꿀 수 있는 말은 "웬"을, "무슨 까닭인지"로 바꿀 수 있는 말은 "왠지"를 쓰시면 됩니다. 그리고 우리말에 "웬지"나 "왠일", "왠"은 없습니다. via 우리말배움터즉 '웬일인지' 가 맞는 표현입니다.



"정보 / 우리말" 분류의 다른 글

돋다 / 돗다2017/06/03
묻다/뭍다2011/09/04
데요 / 대요2011/08/20
되 / 돼2014/07/12
시치미를 떼다2011/08/23

2011/08/20 02:06 2011/08/20 02:06

(#Hashtag) 같은글

TAG

보내 / 보네

2011/08/20 01:52

한글맞춤법: 보내/보네 - 데/대 2008/11/12 15:24리퍼러를 보다보니 예전에 이에 대해 정리했던 것을 검색하는 경우가 많아 다시금 포스팅합니다. (*)○ 보내 (보내다)'사람이나 물건 따위를 다른 곳으로 가게 했다'를 뜻하는 말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보내다'는 '시간이나 세월을 지나가게 하다.'로 규정. '보내다'는 타동사로서 목적어를 취한다. 예시 > "오늘 좋...



"정보 / 우리말" 분류의 다른 글

돋다 / 돗다2017/06/03
붓다 붇다2021/06/30
되 / 돼2014/07/12
묻다/뭍다2011/09/04
네요 / 내요2011/08/20

2011/08/20 01:52 2011/08/20 01:52

(#Hashtag) 같은글

TAG

데요 / 대요

2011/08/20 01:08

-데요(O) /-대요(O) : 상황에 따라 다르게 쓰임. '-데요'는 해요체의 종결어미입니다.말하는 이가 자신이 경험한 사실을 회상하여 일러주거나 그렇게 생각하게 되었을 때 쓰는 말로 ‘-더군요’의 뜻입니다.'추측했음'을 나타낼 때 사용할 수 있다. 보기>문득 그런 생각이 나데요.(←'나더군요.') '-대요'는 ‘-다고 해요’가 줄어든 말입니다. `듣거나 본 사실을 인용하여 서술할...



"정보 / 우리말" 분류의 다른 글

붓다 붇다2021/06/30
되 / 돼2014/07/12
먹먹하다 / 멍멍하다2011/08/24
네요 / 내요2011/08/20
시치미를 떼다2011/08/23

2011/08/20 01:08 2011/08/20 01:08

(#Hashtag) 같은글

TAG

네요 / 내요

2011/08/20 01:06

-네요(O) / -내요(X) '-네요'는 어미 '-네'에 높임의 조사 '요'가 붙은 형태로, 말하는 사람이 새삼스럽게 알게 된 사실에 대해 감탄함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네'와 '내'의 발음이 유사하여 표기를 종종 혼동하지만, '-내'라는 종결어미는 없으므로 '-내요'라고 문장을 마무리할 수 없습니다.via 우리말배움터



"정보 / 우리말" 분류의 다른 글

어떻하지 / 어떡하지2011/08/21
시치미를 떼다2011/08/23
데요 / 대요2011/08/20
되 / 돼2014/07/12
먹먹하다 / 멍멍하다2011/08/24

2011/08/20 01:06 2011/08/20 01:06

(#Hashtag) 같은글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