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5/07 - 빅쇼트 The Big Short 2015 US

미국발 쇼크: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부실사태   2007/08/20 15:12 (바이러스로 DB 삭제되어 일부만 살린글)


서브프라임 모기지 론은 신용등급이 낮은 저소득층에게 주택 자금을 빌려 주는 미국의 주택담보대출 상품으로, 우리말로는 ‘비우량 주택담보 대출’이라 한다.
미국의 주택 담보 대출은 3등급으로 나뉘는데 그 중 서브프라임은 신용도가 일정 기준 이하인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이라 부실 위험이 커 대출 금리가  높다. 2000년대 초반 미국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모기지론 업체들이 경쟁적으로 주택 담보 대출을 확대하면서 서브프라임 등급에 대한 대출 비중도 급격히 상승했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 집값이 하락하면서 FRB(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17차례에 걸쳐 정책 금리를 1.0%에서 5.25%로 대폭 올렸고, 이자 부담이 커진 저소득층은 원리금을 제대로 갚을 수 없게 되었다. 이로 인해 연체율이 급상승하면서 2007년 ‘서브프라임모기지론 사태’가 일어났고, 이후 세계는 글로벌 금융 위기를 맞는다.

즉 상황을 다시 정리해보자면,

집 값이 떨어져 저소득층의 채무 불이행율이 높아졌다. 이로 인해 5개의 대표 은행 중 3개가 망했다. 대출 은행들의 수익률이 높기 때문에 해지펀드나 세계의 여러 금융업체들이 막대한 금액을 투자했는데, 미국의 집값이 하락하면서 서브프라임 모기지 대출자들이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하게 되었고, 결국 2007년 4월에 미국 2위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회사가 부도 처리되었다. 이에 따라, 여기에 투자했던 미국을 비롯한 세계의 해지펀드, 은행, 보험사 등이 연쇄적으로 붕괴하고, 미국 10위 모기지 회사이자 중간 등급의 신용등급자를 대상으로 하던 AHMI까지 부도가 나면서 위기론이 확산되었다.



2011/08/24 05:47 2011/08/24 05:47

(#Hashtag) 같은글

엔캐리 트레이드 문제

2011/08/24 05:25

엔캐리 트레이드 문제   2007/08/20 14:32 (바이러스로 DB 삭제되어 일부만 살린글)

일본에서 돈을 빌려 다른 국가에 투자할 때 조달된 자금을 일컫는다.
저금리 엔화를 대출받아 국제 외환시장에서 엔화를 매도하고 고금리 통화를 매수하여 환 차익과 금리차를 이용한 차익 거래. (캐리 트레이드란 저금리로 조달된 자금으로 다른 국가의 특정 유가증권 혹은 상품에 투자하는 거래를 말하는데 이자가 싼 국가에서 빌린 돈으로 수익이 높은 다른 국가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환위험을 가지고 있다. )

여기서 가장 큰 변수는 환율이다.
아무리 예금/채권/주식 투자에서 이익을 얻었어도, 환율에서 손해를 보면 처음 엔캐리거래를 실행할 때 예상했던 투자이익이 없어지거나 심지어 손해가 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엔캐리거래를 실행할 때 예상한 투자이익과 환차익 (예를 들면 처음 엔캐리거래를 실행할 때 1달러/115엔 였던 것이, 청산시점에  1달러/121엔이 된다면 환차익발생) 까지 향유할 수 있다면 최고의 투자가 되는 셈이다.

세계 최대 채권국인 일본은 그간 세계의 대출 금고라 불리며 장기간 제로 수준의 금리를 유지하여 엔캐리 트레이드 자금이 다른 국가에 투자돼 왔다. 그러나 일본이 금리를 올리고 엔화 강세까지 겹친다면 투자자들이 일본에서 빌린 돈을 상환하려 할 것이기 때문에 국제 자금의 방향에 큰 변화가 생기게 된다. 그렇게 되면 가장 큰 문제는 국제 유동성의 축소다. 아시아 신흥세력이 가장 큰 타격을 입게 된다. 우리 나라도 여기에서 자유롭지는 않다. 국내 증시의 상당액이 엔캐리 트레이드로 이뤄져 있다.

이 때 글을 작성했을 당시 미국의 서브 프라임 모기지론과 관련해서 엔캐리 트레이드가 왜 문제가 되는지에 대한 논의가 한창이었다.

2011/08/24 05:25 2011/08/24 05:25

(#Hashtag) 같은글

여행경보제도

2011/08/24 04:48

여행경보제도 여행경보제도,여행금지   2007/07/24 13:48

특정 국가나 지역에 있어서 우리 국민의 안전에 영향을 미칠 사안이 존재하고, 어느 정도 계속적으로 발생하거나 우리국민의 안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을 경우 여행경보를 지정하여 여행·체류자에게 주의를 촉구하는 제도이다.

특정 국가 여행 · 체류시 특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국가 및 지역에 경보를 지정하여 위험수준과 이에 따른 안전대책(행동지침)의 기준을 안내. 우리국민의 안전에 대한 위험(위협)을 중요한 기준으로 해당 국가(지역)의 치안정세와 기타 위험요인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안전대책의 기준을 판단할 수 있도록 중·장기적 관점에서 여행경보를 지정·공지하고 있다.

외교통상부는 아래와 같이 여행경보단계를 4단계로 나누어 운영하고 있다.

1단계(여행유의) 신변안전 유의
2단계(여행자제) 신변안전 특별유의, 여행필요성 신중검토
3단계(여행제한) 긴급용무가 아닌한 귀국, 가급적 여행취소·연기
4단계(여행금지) 즉시 대피·철수, 방문금지

여행경보 1단계부터 3단계까지 지정된 국가들에 여행을 계획하고 있거나 체류하고 있는 국민들은 단계에 따른 권고사항을 참고하여 필요한 안전대책을 마련하도록 권고하나 여행경보 4단계의 경우 정부의 허가 없이 방문을 금지하며 무단 입국하게 되면 여권법에 의해 처벌(1년이하 징역 또는 300만원이하 벌금)된다.

최근에 발표된 4단계 국가로 공지된 국가는 다음과 같다.
아프가니스탄(2007.8.7-2012.8.6), 리비아(2011.3.15~10.14), 소말리아(2007.8.7-2012.8.6), 예멘(전 지역(2011.6.28-2011.12.27), 이라크(2007.8.7-2012.2.6)



2011/08/24 04:48 2011/08/24 04:48

(#Hashtag) 같은글

웨스 모스

2011/08/24 03:51

웨스 모스   2007/06/07 11:47

Wes Moss

10대 시절 자기 힘으로 사업을 시작하여 현재는 매우 번성하는 사업으로 키워왔다.
패기만만한 사업가로 NBC의 유명한 프로그램인 ‘어프렌티스(The Apprentice)’에도 출연한 경험이 있다.

노스캐롤라이나대학에서 경제학을 전공한 후, 10대 시절부터 시작한 자신의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투자회사의 부사장을 역임했다. 또한 국제공인 재무설계사로도 활동하면서, 사업 파트너들과 함께 수익가치가 높은 곳에 투자하여 관리하는 자금만도 1억 달러가 넘는다.

뛰어난 연사로도 잘 알려져 있는 웨스 모스는 기업가와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들을 강연에서 다루고 있다.
저서로 맨 발에서 CEO까지가 있다.

최근에 마이크로 소프트에서 아이튠즈를 대항해 만든 Zune Pass 광고에도 출연(링크)하는 걸 보면 아직도 잘 나가는 사업가인가보다. 

2011/08/24 03:51 2011/08/24 03:51

(#Hashtag) 같은글
    이글의 태그와 관련된 글이 없습니다.

조와 종의 차이

2011/08/24 02:48

조와 종의 차이 2006/09/28 16:00

조선의 역대 왕들의 묘호는 "종"과 "조"로 나뉘어 지는데 그 차이점은 무엇일까.

묘호는 왕의 신주를 종묘에 모실 때 그 묘실을 가리키기 위하여 조정에서 왕의 사후 그 왕의 치적에 걸맞게 중신회의에서 정하였다. 조정에서 묘호를 정할 때에는 "조공종덕(祖功宗德)"의 원칙에 입각하여 왕이 재위 기간에 국가에 공 功(나라를 세웠거나 변란에서 백성을 구한 커다란 업적이 있는)이 많으면 "조(祖)"를, 국가에 덕 德(앞선 왕의 치적을 이어 덕으로 나라를 다스리고 문물을 융성하게 한)을 많이 쌓았으면 "종(宗)"을 붙이도록 하였다.
 
왕의 호칭에는 묘호 이외에도 사후에 중국 황제가 지어 보내주거나 신하들이 왕의 덕을 칭송하기 위하여 지어 올리는 시호와 존호도 있다. 예를 들면 이성계의 정식 호칭은 "태조 강헌 지인계운성문신무대왕"이다. 이 중 태조는 묘호이고 강헌대왕은 시호 나머지는 존호인 셈이다. 그리고 고려시대에도 왕건은 태조라고 불리웠고 몽고 간섭기에는 충렬왕 등"충"자를 앞에 붙였는데 이는 몽고에 충성을 다했다는 표시로 부끄러운 역사의 일면이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이미 정한 묘호를 바꾸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선조의 경우, 처음 묘호가 선종이었으나 국난(임진왜란) 극복 등 커다란 공이 있다고 일부 신하들이 주장해 선조로 바꿨다고 한다.


그렇다면 광해군이나 연산군처럼 "군"으로 불리는 왕들은 어떻게 붙여진 이름일까.

군이라는 것은 원래 왕자들이나 왕의 형제, 또는 종친부나 공신에게 주어지던 호칭이다. 광해군과 연산군의 경우는 재위 기간 중 국가와 민생에 커다란 해를 끼친 폭군으로서 폐위되었기 때문에 왕으로 대접하지 않고 군(결국 왕이 되기 전의 왕자 위치로 돌아간 것)으로 봉해진 것이다. 따라서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追尊王 : 실제로 왕위에 오르지는 못했지만, 죽은 뒤에 묘호가 내려진 왕)과 왕비의 신위가 봉안되어 있는 왕실의 사당인 종묘에서도 광해군과 연산군의 신위는 찾아 볼 수 없다.



2011/08/24 02:48 2011/08/24 02:48

(#Hashtag) 같은글

먹먹하다 / 멍멍하다

2011/08/24 02:11

방금 글을 적다가 멍먹하다, 로 잘못쓸 뻔했다.
하여 맞춤법을 기록한다.

O 먹먹하다
갑자기 귀가 막힌 듯이 소리가 잘 들리지 않다.
소리가 잘 들리지 않아 귀먹은 것 같다.
체한 것같이 가슴이 답답하다.

[예문]
롤러코스터를 한 바퀴 타고 제자리로 들어설 때,귀가 먹먹해 세상에 홀로 남겨진 듯한 느낌과 비교할수 있을까. [한국경제 02.09.05.] 

O 멍멍하다
정신이 빠진 것같이 어리벙벙하다. 말없이 멍하다.  <참고> 벙벙하다
‘먹먹하다(1. 갑자기 귀가 막힌 듯이 소리가 잘 들리지 않다)’의 잘못.

[예문]
김씨의 어머니 장태순(54)씨는 “전차에 받힌 듯 멍멍해 검사 앞에서 제대로 해명도 못했던” 자신을 탓하며 수없이 가슴을 쳤다. [한겨레21 02.10.31.]

/오류/
쏟아져 내리는 폭포 소리에 귀가 멍멍해(-> 먹먹해) 잠시 소리에 대한 감각을 잃어버리기도 한다. [매일경제 03.02.16.]

그 소리가 얼마나 큰지 혼이 빠져나가는 것 같고 귀가 멍멍해(-> 먹먹해) 운전을 제대로 할 수 없었다. [동아일보 02.03.08.]



"정보 / 우리말" 분류의 다른 글

어떻하지 / 어떡하지2011/08/21
데요 / 대요2011/08/20
되 / 돼2014/07/12
붓다 붇다2021/06/30
보내 / 보네2011/08/20

2011/08/24 02:11 2011/08/24 02:11

(#Hashtag) 같은글

TAG

안락사

2011/08/24 01:46

안락사 2006/07/03 11:53

당시에 어떤 링크를 통해 깊이 있는 논의를 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찾을 방법이 없다.

안락사(安樂死, euthanasia, 그리스어: ευθανασία →아름다운 죽음)란 불치의 중병에 걸린 등의 이유로 치료 및 생명 유지가 무의미하다고 판단되는 생물에 대하여 직·간접적 방법으로 생물을 고통없이 죽음에 이르게 만드는 행위를 말한다. 존엄사(death with dignity)로도 알려져 있다.

안락사는 방법에 따라 환자에게 독극물 투여 등의 방법으로 생명을 빼앗는 '능동적 안락사(적극적 안락사)'와 환자에게 어떤 의학적 조치를 취하지 않거나 인공호흡기 등 인위적인 생명연장 장치를 제거하는 '수동적 안락사(소극적 안락사)'가 있다. 네덜란드는 2001년 안락사 법안을 통과시켜 세계 최초로 안락사를 법적으로 허용하는 나라가 되었다.

구미에서는 안락사에 대한 시비는 자살 문제와 마찬가지로 기독교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중세 기독교 사회에서는 생명은 신으로부터 받은 것이므로 자살이든 안락사든 인간의 생명을 빼앗는 것은 신의 뜻에 어긋나는 죄라는 관념을 전제로 안락사도 살인의 일종으로 처벌의 대상이 되었다. 르네상스 시대에 들어서면서 유토피아, 즉 비기독교 사회에서는 본인의 의사에 의한 안락사(임의의 안락사)도 인정할 수 있다는 설이 대두하기 시작했다.

안락사는 어디까지를 병자의 죽음의 시기로 볼 것인가, 살아갈 가치가 없는 생명이란 있을 수 있는가 등의 복잡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 위키백과 : 안락사와 관련된 국가들



2011/08/24 01:46 2011/08/24 01:46

(#Hashtag) 같은글
    이글의 태그와 관련된 글이 없습니다.

나르콜렙시

2011/08/24 01:36

나르콜렙시 2006/07/03 11:49

narcolepsy
기면증.
발작적으로 수면상태에 빠지는 병. 수면장애의 일종.
수면경향이 항진하는 과잉수면의 대표적 질병이다.

한국 표준 질병 사인 분류에는 신경 계통의 질환-수면 장애(Sleep disorders)-발작성 수면 및 탈력 발작(Narcolepsy and cataplexy)으로 등록되어 있다. 2009년 5월, 보건복지부는 기면증을 희귀·난치성 질환으로 지정하였다. * 위키백과



2011/08/24 01:36 2011/08/24 01:36

(#Hashtag) 같은글
    이글의 태그와 관련된 글이 없습니다.

어류→육상동물 진화 화석 발견

2011/08/24 00:36

어류→육상동물 진화 화석 발견 2006/04/06 09:44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로이터 연합뉴스


진화학자들은 무척추동물 → 척추동물(어류) → 양서류(뭍짐승) → 파충류(공룡) → 조류(날짐승) → 포유류 → 유인원 → 현생인류에 이르는 진화의 흐름에서 중간을 이어주는 생물들을 찾아내기 위해 애를 써왔다.

이른바 ‘잃어버린 고리’(Missing Link)는 다윈의 <종의 기원>에서 시작된 진화론을 완성시켜주기 위한 필요조건이었다.

지난주 <네이처>는 물속 생물이 뭍으로 나오는 과정을 밝혀주는 중요한 화석을 발견했다고 발표해 진화학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닐 슈빈 미국 시카고대 생물학과 교수가 이끈 미·캐나다 공동연구팀한테서 ‘틱타알릭 로제’(Tiktaalik rosea)라는 이름을 얻은 이 화석은 3억8500만년 전의 원시 물고기 판데릭티스와 초기 3억6500만년 전의 초기 육지동물인 아칸토스테가를 이어주는 ‘미싱 링크’로 여겨졌다. [한겨레 링크]


2011/08/24 00:36 2011/08/24 00:36

(#Hashtag) 같은글
    이글의 태그와 관련된 글이 없습니다.

TAG

12월 31일은 23시 59분 60초까지 센다?

2011/08/24 00:05

31일은 23시 59분 60초까지 센다? 2005/12/29 11:11

한국천문연구원은 지난 8월 초 발표했던 2006년 1월 1일 윤초 실시와 관련하여, 일부 국민들이 윤초 시각을 2005년 12월 31일 23시 59분 59초 이후에 삽입되는 것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정확한 시각을 다시 한번 발표한다.  

○ 시각(천문시)은 지구 자전과 공전을 기준으로 측정하고 있다. 그런데 달의 인력에 의해 지구 자전속도가 서서히 느려지기 때문에 원자시계를 이용해서 측정한 원자시와 천문시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윤초를 시행한다.  윤초 실시 방법은 다음과 같다. 2006년 1월 1일 08시 59분 59초와 09시 00분 00초 사이에 08시 59분 60초를 삽입한다(표와 그림 참조). 따라서 윤초 실시 이전의 09시 00분 01초가 09시 정각이 된다. 그리고 08시 59분 정각과 09시 정각 사이의 시간 간격은 61초가 되어 이전보다 1초가 길어진다.

○ 윤초의 시행 시각은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가 위치한 경도 0도의 표준시로 정한다. 동경 135도를 기준으로 하는 우리나라는 세계 표준시와 9시간의 차이가 나며, 따라서 우리나라의 윤초 시행 시각은 08시 59분 60초이다.

세계협정시(UTC)

한국표준시(KST)

비고

2005년 12월 31일 23시 59분59초

2006년 1월 1일 08시 59분 59초


2005년 12월 31일 23시 59분 60초

2006년 1월 1일 08시 59분 60초

윤초

2006년 1월 1일 00시 00분 00초

2006년 1월 1일 09시 00분 00초



○ 윤초는 1972년 국제지구자전국(IERS; International Earth Rotation Service)에 의해서 처음 실시되었으며, 윤초를 실시하는 시기는 매년 다르다. 어떤 해는 6월말에, 어떤 해는 12월말에 실시한다. 그렇다고 매년 일정하게 1초씩 더해주거나 빼주는 것도 아니고 불규칙하다. 1972년에는 6월과 12월의 2회의 윤초가 실시되었고, 그 후로 1973년부터 1979년까지는 12월말에 매년 1회씩 양의 윤초(1초를 더해줌)가 실시되다가 어떤 해에는 윤초가 실시되지 않기도 하였다. 1972년부터 올해까지 윤초가 실시되지 않은 해는 2000년부터 2004년까지의 5회를 포함해 11회로 그 간격도 불규칙하다.

via 한국천문연구원

2011/08/24 00:05 2011/08/24 00:05

(#Hashtag) 같은글
    이글의 태그와 관련된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