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선호도와 뇌의 감정처리 사이에 연관성 밝혀져 via  2024-09-30 ⓒ ScienceTimes
*본 기사의 참고 논문: DOI.org/10.3389/fnbeh.2024.1396811

메타감정과 시청각 콘텐츠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메타감정 : 감정에 대한 감정. 기본 감정을 유지하거나 변경하는 데 필요한 동력.
메타감정이 영상매체에 대한 선호도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 감정에 대한 평가가 호의적이면 쾌락, 즐거움 등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이 주요 감정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한다. 그래서 긍정적인 메타감정이 수반되면 불쾌한 감정조차도 보람 있는 것으로 보이게 한다는 것.

선호 영화 선택은 ‘뇌’가?
- 국제학술지 Frontiers에 발표 - 영화 선호도가 신경·감정 처리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
- 할레 바텐베르크 마틴 루터 대학교 심리학·신경과학부 연구진
- 지금까지 ‘선택’을 개인의 심리적 과정 중 일부, 혹은 감정 및 심리상태의 잠재적 행동으로 보았던 연구와는 달리, 선호 대상에 대한 선택 시 직접적인 뇌 활동을 관찰한 것으로 주목.  

두려움과 분노는 뇌의 서로 다른 영역에서 처리된다.
- 두려움 : 편도체와 전두엽에서 활성화. 감정의 감지와 인지적 평가와 관련.
- 분노 : 해마와 측좌피질에서 활성화. 감정의 기억과 행동적 반응에 관련.

연구결과
- 두려움을 잘 처리하는 참가자 : 공포 영화 선호
- 분노를 잘 처리하는 참가자 : 액션 및 스릴러물 선호

•  제1저자인 Zwiky 박사는 “두려움에 민감한 사람들은 공포와 스릴러 장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지만, 분노를 자주 경험하거나 표현하는 사람들은 액션 영화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연구를 통해 영화 제작자들이 관객의 감정 경험을 이해하고 이를 반영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정보 / 잡학.백과사전" 분류의 다른 글

이스라엘2024/07/08
'겨리'에 담긴 의미2013/07/13
최부의 표해록(漂海錄)2024/02/03
론스타 게이트2021/12/24
피터 싱어2024/07/10

2024/12/21 09:29 2024/12/21 09:29

(#Hashtag) 같은글

TAG

Trackback

Trackback Address :: http://ham-gge.com/ttd/trackback/1211

Comments

What's on your mind?

댓글 입력 폼